728x90
반응형

고린도후서(11-01)

 


자신의 어리석음을 자랑한 바울

고린도후서 11장 1-15절


 

선악을 결정할 수 있는 분은 하나님뿐입니다. 그것을 분별하는 것이 지혜입니다. 이미 그 기준을 알려주시고 따르게 하셨습니다. 당신이 믿은 것을 당신 맘대로 당신 열정을 다 동원하여 믿어도 지혜가 없으면 스스로 망하는 길을 자처하는 것입니다. 왜 지혜 없음은 불신앙이 되었습니까?

 

  • 10장에 이어 거짓 사도들 문제를 계속 다룹니다. 이 부분부터 그들이 헛된 자랑으로 교회를 속이는 것과 관련해 바울 자신의 자랑거리를 소개하며 12:13까지 이어집니다. 오늘 본문은 바울이 자랑을 말하는 이유에 대해 다루며 크게 두 부분으로 구분됩니다. 1-4절은 자신을 자랑하는 첫째 이유를 설명합니다. 교회를 아끼기 때문입니다. 5-15절은 바울 자랑의 둘째 이유입니다. 거짓 사도들이 헛된 자랑으로 교회의 인정을 받으려는 시도를 무력화하기 위해서입니다.

 

바울의 어리석은 자랑의 이유(1) (1-4)

예수님께서는 성도와 교회의 남편이십니다. 정결한 신부를 바라는 것이 남편의 마음인 것처럼 예수님께서는 우리가 정결하기를 바라십니다. 정결하다는 것은 신랑만을 생각하며 그분께 모든 것을 바치는 것입니다. 그러나 안타깝게도 고린도 교회 중의 어떤 사람들은 다른 예수, 다른 영, 다른 복음에 마음을 쉽게 빼앗겼습니다.

 

1원하건대 너희는 나의 좀 어리석은 것을 용납하라 청하건대 나를 용납하라 2내가 하나님의 열심으로 너희를 위하여 열심을 내노니 내가 너희를 정결한 처녀로 한 남편인 그리스도께 드리려고 중매함이로다 그러나 나는 3뱀이 그 간계로 하와를 미혹한 것 같이 너희 마음이 그리스도를 향하는 진실함과 깨끗함에서 떠나 부패할까 두려워하노라 4만일 누가 가서 우리가 전파하지 아니한 다른 예수를 전파하거나 혹은 너희가 받지 아니한 다른 영을 받게 하거나 혹은 너희가 받지 아니한 다른 복음을 받게 할 때에는 너희가 잘 용납하는구나(1-4)

 

바울은 자기변호와 자랑이 어리석게 보이는 일인 줄 알면서도 진리를 벗어나 어리석은 길로 가는 성도들을 바로잡기 위해 자신의 권한을 거듭 강조하기로 합니다. 그것은 교회가 정결한 신부의 모습으로 신랑이신 그리스도를 뵈올 수 있게 하려는 열심 때문이었습니다.

 

(1) 바울의 호소: 나의 어리석은 자랑을 용납하라(1)

 

거짓 사도들의 자랑에 맞서 바울의 자랑을 서술해갑니다. 자신의 자랑을 약간 어리석은 것으로 묘사하고 독자가 용납해주기 원한다는 말로 시작합니다(la). 두 가지 안타까운 상황을 담고 있습니다. 첫째, 독자의 상태입니다. 사역자가 인간적 조건을 자랑하는 것은 하나님 앞에서 어리석은 일입니다. 당연한 것이지만, 독자에겐 다릅니다. 오히려 그런 자랑을 사역자를 구분하는 기준으로 사용하기 때문입니다. 바울은 ‘어리석은 것’이라는 표현을 통해 독자의 ‘어리석은’ 관점을 비판합니다. 둘째, 바울의 상태입니다. 교회를 세운 사도이기에 추천서 쓰듯 자신을 소개하거나 자랑하지 않아도 됩니다. 그러나 지금은 그런 자랑으로 거짓 사도들과 진흙탕싸움을 해야 합니다. 독자들의 낮은 눈높이에 맞춰 그들이 분별할 수 있도록 도와야 하기 때문입니다(12). 독자를 향한 바울의 사랑과 간절함입니다(11). 이어 바울은 ‘나를 용납하라’는 명령을 덧붙임으로 그 싸움을 향한 결연한 의지를 보입니다(16).

 

(2) 권면의 이유 1: 교회를 위하는 바울의 마음(2-3)

 

자랑할 내용을 소개하기 앞서 왜 그 일을 하는지를 부연합니다. 하나님과 독자의 언약 관계를 유지시키고 싶기 때문입니다. 바울은 자신의 사역을 마치 순결한 처녀를 메시아에게 드리듯 독자를 한 남편 메시아에게 약혼시킨 것으로 묘사합니다(2).

결혼은 언약 관계의 대표적 상징이며(렘 31:32), 특히 성도와 메시아를 신부와 신랑으로 묘사한 것은 새 언약 관계의 전형적 표현입니다(마 22:2; 롬 7:1-4). 복음을 통해 독자들이 구원 과정을 경험하도록 이끌었다는 말입니다. 그런데 그들의 상태가 심상치 않습니다. 거짓 사도들의 영향력 때문에 독자와 메시아의 관계가 위태로워졌기 때문입니다.

만일 그들의 가르침을 따라가면 뱀에게 미혹된 하와가 하나님을 거절하고 선악과를 먹었듯(창 3:1-6) 독자의 사고가 메시아를 향한 진실함과 깨끗함에서 떠나 부패할 수 있습니다(3). 마치 구약에서 이스라엘 백성이 우상을 섬김으로 하나님과의 관계를 저버린 것과 같습니다. 방치하면 언약 관계에 충실한 하나님의 의로운 진노를 경험하게 됩니다. 바울은 이 과정을 막고 싶은 것입니다. 하나님 그분이 그런 결과까지 가기를 원치 않으십니다. 그분은 자신의 사랑을 거절한 언약 백성에게 맹렬한 질투로 경고하고 징계해서 다시 돌아오기를 원하셨습니다. 하나님은 독자에게도 동일한 질투의 사랑을 표현하고 계십니다. 바울은 하나님의 그 마음을 따라 어리석은 자랑을 함으로 독자들이 돌아오도록 돕고 있습니다(2). 바울의 초점은 자신의 영향력 확대만을 추구하는 거짓 사도와 다릅니다.

 

(3) 권면의 이유 2: 교회의 상황(4)

 

바울이 자랑할 수밖에 없는 실제 이유는 교회가 전혀 분별하지 못하기 때문입니다. 그들은 거짓 사도들이 와서 바울이 선포하지 않은 다른 예수를 전해도 용납하고, 그들이 받지 않은 영을 받게 해도 용납하고, 그들이 듣지 못한 복음을 전해도 용납했습니다. 그것은 새 언약 관계를 맺고 그 안에 있게 하는 것, 곧 구원 과정과 전혀 상관없는 것인데도 아무 감각이 없습니다. 오히려 바울과 비교하며 거짓 사도들의 영향력을 선호하기까지 합니다. 이런 답답한 상황이 바울이 하나님의 질투로 독자를 대하는 이유입니다. 이제 전개할 거짓 사도들의 자랑에 맞서는 바울의 자랑의 이유이기도 합니다.

 

바울의 어리석은 자랑한 이유2(5-15)

복음을 효과적으로 전달하는 것, 그리고 성도들을 온전히 세우는 것, 이것이 바울에게는 우선순위였습니다. 그래서 가치 있는 것을 전하면서 값없이 전하고, 때로는 부족할 때에도 그 부담을 성도들에게 지우지 않았습니다. 감사하게도 하나님께서는 마게도냐 성도들을 통해서 바울의 부족한 것을 채워 주었습니다.

 

5나는 지극히 크다는 사도들보다 부족한 것이 조금도 없는 줄로 생각하노라 6내가 비록 말에는 부족하나 지식에는 그렇지 아니하니 이것을 우리가 모든 사람 가운데서 모든 일로 너희에게 나타내었노라 7내가 너희를 높이려고 나를 낮추어 하나님의 복음을 값없이 너희에게 전함으로 죄를 지었느냐 8내가 너희를 섬기기 위하여 다른 여러 교회에서 비용을 받은 것은 탈취한 것이라 9또 내가 너희와 함께 있을 때 비용이 부족하였으되 아무에게도 누를 끼치지 아니하였음은 마게도냐에서 온 형제들이 나의 부족한 것을 보충하였음이라 내가 모든 일에 너희에게 폐를 끼치지 않기 위하여 스스로 조심하였고 또 조심하리라 10그리스도의 진리가 내 속에 있으니 아가야 지방에서 나의 이 자랑이 막히지 아니하리라 11어떠한 까닭이냐 내가 너희를 사랑하지 아니함이냐 하나님이 아시느니라 12나는 내가 해 온 그대로 앞으로도 하리니 기회를 찾는 자들이 그 자랑하는 일로 우리와 같이 인정 받으려는 그 기회를 끊으려 함이라 13그런 사람들은 거짓 사도요 속이는 일꾼이니 자기를 그리스도의 사도로 가장하는 자들이니라 14이것은 이상한 일이 아니니라 사탄도 자기를 광명의 천사로 가장하나니 15그러므로 사탄의 일꾼들도 자기를 의의 일꾼으로 가장하는 것이 또한 대단한 일이 아니니라 그들의 마지막은 그 행위대로 되리라(5-15)

 

사도 바울에게 내세울 만한 것은 아무것도 없습니다. 말도 잘 못한다는 소리를 듣습니다. 하지만 지켜야 할 것은 외양이 아니라 내용입니다. 바울은 외양이 아니라 내용을 전합니다. 그는 자기가 하는 일이 교회를 고상하게 한다는 것을 알고 있습니다.

 

(1) 바울의 변호: 약한 웅변술에 대해 거짓(5-6)

 

사도들이 비난하는 바울의 약점에 대해 변호합니다. 지극히 크다는 사도들에 비해 조금도 부족함 없다는 말로 시작합니다. ‘지극힌 큰 사도’란 거짓 사도들이 바울과 비교해 스스로를 평가한 말일 것입니다.

바울은 두 가지 영역을 변호합니다. 첫째는 바울의 말재주입니다(5-6). 그들은 바울의 화술을 지적하고 사역자로서의 자질을 의심합니다. 실제로 바울의 말은 유창한 웅변술과 수사학을 사용해 사람들을 설득하는 형식은 아니었습니다. 두 번째 편지에서도 그 문제가 지적되었습니다(고전 2:1-2). 바울은 구차한 변명 대신 자신은 유창한 화법에 문외한이라고 자인합니다. 하지만 진리의 지식에서는 그렇지 않다고 합니다. 거짓 사도들과 비교할 수 없는 지식을 가졌고 독자들에게 여러 방법으로 그 지식을 보였다고 말합니다. 복음 증거와 관련해 두 번째 편지에서 이미 변호했던 것입니다(고전 2장). 그럼에도 똑같은 내용으로 다시 변호해야 할 만큼 독자들은 여전히 세상의 평가 방식을 못 버리고 있습니다.

 

(2) 바울의 변호: 섬김과 사랑의 태도에 대해(7-12)

 

거짓 사도들의 비난에 대해 바울이 변호하는 두 번째 영역은 그가 교회를 섬기는 태도입니다. 그들은 바울의 겸손함, 특히 사역비를 받지 않고 섬기는 것에 대해 무능하다고 여기거나 혹은 교인들의 돈을 착취하면서도 받지 않은 척한다고 말한 듯합니다(12:16). 전자에 대해서는 이미 두 번째 편지(고전 9장)에서 언급했던 것인데, 여전히 거짓 사도들의 말에 속고 있습니다. 후자는 확인하면 바로 알 수 있는데도 그렇게 하지 않고 있습니다.

바울은 반문합니다. 복음을 값없이 전함으로 자신을 낮추고 독자를 높인 것이 죄입니까(7)? 예수의 주 되심과 예수를 위해 독자의 종이 된 것을 선포하며(4:5), 그에 부합하는 태도를 보인 것이 잘못입니까? 독자가 대답해야 합니다. 이 모습은 거짓 사도들과 대조되는 것입니다(20). 그러나 먼저 독자나 거짓 사도들이 궁금해 하는 내용을 해명해야 했습니다. 바울은 사역비를 받지 않았는데도 돈이 있습니다. 천막 짓는 일을 했지만(행 18:3), 그것으로 모든 경비를 충당할 수는 없었을 것입니다. 어디선가 돈을 받아야 했습니다. 기근으로 어려움 겪는 독자에게 누를 끼치지 않으려고 사역비를 받지 않았다는 말에 대해 거짓 사도들은 거짓말이라고 비난한 것 같습니다.

이에 바울은 독자를 섬기기 위해 쓴 경비는 마게도냐 교회(빌립보 교회)가 보내준 헌금이라고 설명합니다(9; 참조. 행 18:5; 빌 4:14-15). 심지어 그 돈은 독자를 위해 다른 교회에서 탈취한 것이라고 묘사합니다(8). 설사 그들의 비난처럼 바울이 교회 돈을 탈취했다 해도 고린도 교회에서는 아니라는 말입니다.

바울은 고린도 성도에게 폐를 끼치지 않기 위해 조심했고 계속 조심할 것이라고 합니다. 더 나아가 자신이 메시아로 인한 진리를 소유하고 있기에 더욱 선포에 부합하는 태도, 곧 고린도 교회(아가야 지방)에서 무보수로 사역하는 것을 멈추지 않겠다고 합니다(10,12). 하나님 앞에서의 자랑이며, 독자를 사랑하는 방법이기 때문입니다. 바울은 하나님을 증인으로 내세워 자신의 태도의 진실성을 확증합니다. 이런 해명은 거짓 사도들의 비난을 막고 그들의 영향력 확산을 차단하기 위함입니다(12).

 

(3) 거짓 사도들에 대한 비판(13-15)

 

12절과 연결해 거짓 사도들을 비판합니다. 바울은 그들을 거짓 사도요 속이는 일꾼이며 메시아의 사도로 가장하는 자들이라고 평가합니다. 스스로 메시아의 사도로 지칭하는 것으로 보아 예수를 전하기는 한 것 같습니다. 메시아를 전하는 거짓 사도가 존재합니까? 가능합니다. 사탄 자체도 자기를 빛의 천사로 가장하기 때문에, 사탄의 사역자가 의의 사역자로 가장하는 것은 놀라운 일이 아닙니다.

바울의 이런 비판은 두 가지를 생각하게 합니다. 첫째, 사역자와 관련해 예수와 복음 전파 자체보다 어떤 예수와 어떤 복음을 무슨 목적으로 전하는가가 중요합니다. 거짓은 교회 밖뿐 아니라 소위 정통 교회 안에서도 얼마든지 기생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둘째, 성도와 관련해 교회는 계속 분별해야 합니다. 이 일을 위해 바울은 지금 자랑이라는 어리석은 일을 하고 있습니다.


고린도 성도들은 바울의 진심은 안 믿어주고 의심하면서 거짓 사도들에게는 잘도 속았습니다. 광명의 천사인 사탄의 하수인들에게 속았습니다. 하지만 그 결국은 심판임을 잊어서는 안 됩니다. 그들에게 속는 사람들에게도 동일한 운명이 기다리고 있음을 알아야 합니다. 그래서 위험합니다.


[구독]과 아래 [광고 배너] 클릭은
저의 성경 연구에 큰 힘이 됩니다.

728x90
반응형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