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학개서 서론


학개서는 구약 성경 중에 오바댜서 다음으로 짧은 책이지만강한 어조로 거리낌 없이 이어져 있습니다. 4편의 짤막한 메시지는 하나님께서 이스라엘 백성들에게 전하고자 하는 분명한 메시지를 담고 있습니다.

성전 재건 공사는 중단되고 백성들은 하나님의 성소 건축보다는 자신들의 집을 아름답게 꾸미는 일에 더 관심이 있었습니다백성들의 우선순위가 잘못되었기 때문에 장차 그들의 수고는 하나님의 복을 받을 수 없습니다오직 하나님이 그들 앞에 주신 임무를 수행하여 하나님을 우선순위에 둘 때하나님의 복의 손이 그들에게 다시 한 번 임할 것입니다.

 

학개서의 저자

이 학개서와 에스라 5장 1, 6장 14절에 나오는 두 번의 언급으로만 학개 선지자에 대해 알 수 있습니다그 구절을 살펴보면학개는 자기보다 더 젊은 선지자 스가랴와 함께 성전 재건을 독려하는 사역을 했습니다.

학개는 스룹바벨과 함께 바벨론에서 귀환했으며 분명히 예루살렘에 살았습니다어떤 학자들은 2장 3절의 의미를 해석하면서학개가 BC 586년 첫 번째 성진(1성전)이 파괴되기 전에 유다에서 태어났으며이전의 화려한 성경을 기억하던 몇 안 되는 사람들 중의 하나였다고 주장합니다이것은 학개가 BC 520년에 예언할 당시 약 75세였다는 의미기도 합니다그러나 학개가 포로기에 바벨론에서 태어났을 가능성도 있습니다.

 

기록 연대

BC 538년 바사(페르시아)의 고레스 왕은 유대인들이 자신들의 땅으로 돌아가 성전을 재건해도 된다는 칙령을 내렸습니다그리고 유다로 귀환한 사람들은 BC 536년에 성전 재건을 시작했습니다귀환한 백성들은 고국 땅에서 사마리아의 강력한 반대에 부딪혀서 BC 534년에 성전 재건 공사를 중단했습니다하나님께서는 이러한 상황 속에서 선지자 학개와 스가랴를 부르셨고그들에게 성전을 완공하기 위해 백성들을 독려하라는 임무를 동일하게 주셨습니다.

모두 네 편인 학개의 메시지는 정확히 BC 520년에 기록되었는데이때는 바사의 왕 다리우스 1(BC 521-486재위 2년입니다첫 번째 설교는 히브리력으로 엘룰 월(8-9)에 기록되었으며두 번째 설교는 티슈리 월(9-10)나머지 두 개의 설교는 기슬르 월(11-12)에 기록되었습니다나중에 이 메시지들을 편집해서 오늘날의 학개서가 탄생했습니다.

학개는 이스라엘 백성들을 향해서 하나님께서 그의 마음속에 허락하신 메시지를 전했습니다그 메시지는 네 편의 설교로 이루어져 있습니다이 모든 설교의 초점은 성전은 반드시 재건되어야 한다는 것입니다.

⑴ 첫 번째 설교 성전을 재건하라(1:2-11).

학개가 선포하는 네 편의 설교는 약 두달 간의 간격을 두고 계속 설교되었다첫 번째 설교의 제목은 중단되었던 성전의 건축을 다시 시작하라는 것이다.

⑵ 두 번째 설교 굳세게 일하라(2:1-9)

첫 메시지가 전파된 지 두 달이 지난 후에 이 두 번째 설교가 시작되었습니다그때는 촉막절이었다촉막절을 계기로 해서 이 메시지가 선포 되었습니다첫 설교가 선포된 때와 같은 해인 주전 520년 10월 20일경학개 선지자의 입을 통하여 선포된 메시지의 내용은 굳세게 일하라는 요지였습니다.

⑶ 세 번째 설교 순수하게 드린 후 복을 기다리라(2:10-19)

역시 두 달쯤 후인같은 해 주전 520년 12월 24일경이 설교가 베풀어 졌습니다이 세 번째 설교의 요지는 순수하게 드린 후 복을 기다리라는 내용입니다이 설교에서는 먼저 순수하게 드리지 못한 일에 관한 책망이 기록되어 있습니다부정한 것잘못 드려진 것그들의 잘못된 태도 또는 잘못된 헌물에 대한 책망과 경고가 10절 이하에 기록되어 있습니다.

⑷ 네 번째 내가 너를 쓰리라(2:20-23)

이 설교는 세 번째 설교를 한 날과 같은 날약간의 시차를 두고 행해진 설교입니다이 마지막 설교의 요지는 내가 너를 쓰겠다는 것입니다세 번째 설교의 마지막은 너희를 축복하겠다는 것이었는데 청중들은 어떤 복을 주실까하고 궁금했을 것입니다복중의 복은 우리가 하나님께 쓰임 받는 것입니다.

 

주제와 문학적 구조

학개서의 기본 주제는 분명합니다남은 자는 반드시 자기들의 우선순위를 재정립해야 하며 성전 건축을 완공해야 하나님의 복을 기대할 수 있다는 것입니다네 편의 메시지에 따라 단락을 구분할 수 있습니다제 2성전의 완공(11-15), 제 2성전의 영광(21-9), 순종에 대한 현재의 복(2:10-19), 언약을 통한 미래의 부(2:20-23)입니다.

학개 2장 9절의 약속은 하나님의 구원 계획에서 제 2성전(스룹바벨 성전건축이 얼마나 중요하지 미리 알려줍니다나중에 헤롯 대왕은 이 성전을 확장하고 풍요롭게 만드는 데 오랜 시간을 보냈습니다성전은 그리스도께서 예루살렘에 오실 때마다 성육신하신 하나님의 영광으로 가득 찼습니다하나님이 인장으로 삼으신 스룹바벨은 예수 그리스도를 예표하는 인물로 그려지고 있으며(2:23), 이는 메시아적 계보의 회복을 상징합니다.

 

단락 구분

1. 성전 재건을 촉구함(1:1-15)

⑴ 완공되지 않은 성전(1:1-6)

⑵ 반드시 완공되어야 하는 성전(1:7-15)

2. 제 2성전의 영광

⑴ 첫 성신의 영광에는 미치지 못하는 제2성전(2:1-3)

⑵ 첫 성전보다 더 영광스러워질 제29(2:4-9)

3. 순종에 대한 현재의 복(2:10-19)

⑴ 남은 자의 불순종(2:10-14)

⑵ 해결책남은 자의 순종(2:15-19)

4. 약속을 통한 미래의 복(2:20-23)

⑴ 미래에 멸망할 열방(2:20-22)

⑵ 미래에 인정받을 스룹바벨(2:23)

 

오늘날 교회에 주는 메시지

학개서는 오늘날 교회에도 유효한 메시지를 주는데첫째는 하나님의 백성들이 하나님을 최우선적으로 섬겨야 한다는 것이고둘째는 우리가 하나님의 일을 할 때 낙심하지 말아야 한다는 것이고셋째는 미래의 축복에 관한 하나님의 약속은 오늘날 우리의 소망이 된다는 것입니다기독론적으로는 예수 그리스도가 성전 영광의 회복자로서(2:7-9), 이 세상 왕국을 멸망시키는 자로서(2:22), 또한 이스라엘의 인장으로서(2:23) 제시되었습니다.

 

·참고자료

넬슨 성경 개관(개정판)-죠이선교회출판부

IVP 성경주석-IVP

구약성경개론-도서출판 엠마오


구독과 광고 클릭은
저의 성경 연구에 큰 힘이 됩니다.

728x90
반응형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