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느헤미야(11-01) 


약속의 땅에 심긴 생명의 씨앗 같은 이스라엘

느헤미야 11장 1-36절


 

포로 귀환 공동체가 예루살렘 성안과 역속의 땅 전역에 정착합니다. 이는 구원사의 새로운 전환점입니다. 이들은 거주민인 동시에 경비를 겸한 ‘용사’였습니다. 포로 귀환의 최종 목적은 유다 백성이 새로운 언약 백성으로서 약속의 땅에 정착하는 것이었습니다.

 

  • 본문은 예루살렘과 주변 성읍에 정착한 사람들의 명단을 소개합니다. 따라서 문맥상 7장(귀환자들의 명단)의 관심사와 연결됩니다. 거주자들의 이름은 백성의 지도자들로 시작해서, 제사장, 레위인, 기타 봉사자(성 문지기, 느디님 사람, 노래하는 자들)의 순으로 소개됩니다. 마지막 단락은 마을과 주변 성읍들에 거주하는 백성들의 목록을 기술하는데, 이는 문맥상 예루살렘 밖을 재정비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서론(1-2)

진정한 리더는 뒤에 서서 지시하고 명령하는 사람이 아니라 앞서 먼저 솔선수범하는 사람입니다. 섬기는 리더가 있는 곳에 그 공동체는 온전해지며 건강한 공동체가 됩니다. 예루살렘의 상황은 열악했지만, 지도자들이 앞장서서 험한 곳에 정착합니다.

 

1백성의 지도자들은 예루살렘에 거주하였고 그 남은 백성은 제비 뽑아 십분의 일은 거룩한 성 예루살렘에서 거주하게 하고 그 십분의 구는 다른 성읍에 거주하게 하였으며 2예루살렘에 거주하기를 자원하는 모든 자를 위하여 백성들이 복을 빌었느니라(1-2)

 

느헤미야 11-12장은 예루살렘 성벽 재건 이후 내부 정비의 상황을 보도합니다. 11장은 예루살렘과 주변 성읍에 정착한 사람들의 목록을 제시합니다. 느헤미야 본문은 7:4에서 예루살렘 성벽이 재건될 당시 성읍의 인구가 희소했음을 언급합니다. 그리고 그 이유를 각자 자기들 성읍에 살았기 때문이라고 밝힙니다(7:6, 73). 이제 성벽 재건을 마친 상태에서 대적들의 위협으로부터 성을 지키기 위해 예루살렘에 거주할 사람이 더 필요했습니다. 그래서 귀환 공동체는 이 문제에 있어서 원칙을 정하게 되는데, 다른 지역에 사는 지도자들은 될 수 있는 대로 예루살렘에 거주하도록 하는 것이다(1a). 이것은 귀환 공동체를 예루살렘 중심의 공동체로 세우고자 하는 의도로 보인다. 남은 백성들 가운데 제비를 뽑아 십 분의 일은 예루살렘에 거주하게 합니다. 그렇지만 예루살렘에 거주하기를 자원하는 사람에게 우선권을 부여하고 축복합니다(2). 따라서 예루살렘에 거주하는 사람은 지도자들과 백성들 가운데 십분의 일인데, 백성들 가운데 십분의 일은 자원하는 사람들과 제비 뽑아 결정된 사람들로 구성됩니다(구약 성경에서 제비를 뽑는 것은 하나님의 선택을 의미한다), 백성들은 좀 더 안전한 곳에서 정착하기를 원했고, 지금까지 살아온 지역과 삶의 터전을 떠난다는 것은 결코 쉬운 일이 아니었을 것입니다. 즉, 예루살렘 거주를 자원하는 것은 결단과 헌신의 행동이었습니다. 그래서 공동체가 이들을 위해 복을 빌었습니다.

 

예루살렘 거주자들의 명단(3-24)

자원하는 사람은 예루살렘에 거할 수 있었습니다. 선택받아 순종하는 것보다 자원이 더 귀합니다. 대적들의 위협에 항상 노출되는데도 하나님의 선택에 순종한 사람들의 명단이 나열됩니다. 유다 자손들(4-6), 베냐민 자손들(7-9), 제사장들(10-14), 레위인들(15-18), 문지기들(19), 노래하는 자들(22-24)이 열거됩니다.

 

3이스라엘과 제사장들과 레위 사람들과 느디님 사람들과 솔로몬의 신하들의 자손은 유다 여러 성읍에서 각각 자기 성읍 자기 기업에 거주하였느니라 예루살렘에 거주한 그 지방의 지도자들은 이러하니 4예루살렘에 거주한 자는 유다 자손과 베냐민 자손 몇 명이라 유다 자손 중에는 베레스 자손 아다야이니 그는 웃시야의 아들이요 스가랴의 손자요 아마랴의 증손이요 스바댜의 현손이요 마할랄렐의 오대 손이며 5또 마아세야니 그는 바룩의 아들이요 골호세의 손자요 하사야의 증손이요 아다야의 현손이요 요야립의 오대 손이요 스가랴의 육대 손이요 실로 사람의 칠대 손이라 6예루살렘에 거주한 베레스 자손은 모두 사백육십팔 명이니 다 용사였느니라 7베냐민 자손은 살루이니 그는 므술람의 아들이요 요엣의 손자요 브다야의 증손이요 골라야의 현손이요 마아세야의 오대 손이요 이디엘의 육대 손이요 여사야의 칠대 손이며 8그 다음은 갑배와 살래 등이니 모두 구백이십팔 명이라 9시그리의 아들 요엘이 그들의 감독이 되었고 핫스누아의 아들 유다는 버금이 되어 성읍을 다스렸느니라 10제사장 중에는 요야립의 아들 여다야와 야긴이며 11또 하나님의 전을 맡은 자 스라야이니 그는 힐기야의 아들이요 므술람의 손자요 사독의 증손이요 므라욧의 현손이요 아히둡의 오대 손이며 12또 전에서 일하는 그들의 형제니 모두 팔백이십이 명이요 또 아다야이니 그는 여로함의 아들이요 블라야의 손자요 암시의 증손이요 스가랴의 현손이요 바스훌의 오대 손이요 말기야의 육대 손이며 13또 그 형제의 족장된 자이니 모두 이백사십이 명이요 또 아맛새이니 그는 아사렐의 아들이요 아흐새의 손자요 므실레못의 증손이요 임멜의 현손이며 14또 그들의 형제의 큰 용사들이니 모두 백이십팔 명이라 하그돌림의 아들 삽디엘이 그들의 감독이 되었느니라 15레위 사람 중에는 스마야이니 그는 핫숩의 아들이요 아스리감의 손자요 하사뱌의 증손이요 분니의 현손이며 16또 레위 사람의 족장 삽브대와 요사밧이니 그들은 하나님의 전 바깥 일을 맡았고 17또 아삽의 증손 삽디의 손자 미가의 아들 맛다냐이니 그는 기도할 때에 감사하는 말씀을 인도하는 자가 되었고 형제 중에 박부갸가 버금이 되었으며 또 여두둔의 증손 갈랄의 손자 삼무아의 아들 압다니 18거룩한 성에 레위 사람은 모두 이백팔십사 명이었느니라 19성 문지기는 악굽과 달몬과 그 형제이니 모두 백칠십이 명이며 20그 나머지 이스라엘 백성과 제사장과 레위 사람은 유다 모든 성읍에 흩어져 각각 자기 기업에 살았고 21느디님 사람은 오벨에 거주하니 시하와 기스바가 그들의 책임자가 되었느니라 22노래하는 자들인 아삽 자손 중 미가의 현손 맛다냐의 증손 하사뱌의 손자 바니의 아들 웃시는 예루살렘에 거주하는 레위 사람의 감독이 되어 하나님의 전 일을 맡아 다스렸으니 23이는 왕의 명령대로 노래하는 자들에게 날마다 할 일을 정해 주었기 때문이며 24유다의 아들 세라의 자손 곧 므세사벨의 아들 브다히야는 왕의 수하에서 백성의 일을 다스렸느니라(3-24)

 

본문은 이어서 예루살렘에 거주한 사람들의 명단을 구체적으로 소개합니다. 목록에 소개되는 순서는 백성의 지도자들(3-9) → 제사장들(10-14) → 레위인들(15-18) → 기타 봉사자들(19-24) 순입니다.

3절(MT)은 ‘예루살렘에 거주한 그 지방의 지도자들은 이러하니’로 시작합니다. 따라서 이 구절은 3-9절 단락의 도입구 역할을 합니다. 유다와 베냐민 자손 가운데 예루살렘에 거주한 지도자들의 목록은 4절부터 본격적으로 소개됩니다. 그 안에 당시 제사장을 포함한 대다수 백성들이 자신들의 성읍과 기업에 살고 있었음을 밝힙니다(3b). 본문이 이런 식으로 소개하는 이유는 당시 대부분의 백성들이 자신의 성읍에 거주하고 있었던 당시의 상황을 설명하면서 동시에 예루살렘 거주자들의 헌신을 강조하기 위함입니다. 유다 자손 가운데 먼저 베레스 자손 아다야가 소개됩니다. 아다야는 웃시야-스가랴-아마라스바댜-마할랄렐 계보로 연결됩니다(4b). 이어서 소개되는 마아세야는 바룩-골호세-하사야-아다아요야립-스가랴-실로로 연결됩니다(5). 예루살렘에 정착한 베레스의 자손은 468명으로 그들은 다 용사였다고 소개됩니다(6). 용사로 번역된 ‘하일’은 전쟁에 능한 무리를 일컫는 용어로 예루살렘 거주 목적이 성을 방어하고 지키는 일이었음을 보여줍니다. 평행 본문인 역대상 9:6은 세라의 자손들 중 690명이 예루살렘에 정착했다고 보도하고 있어, 베레스와 더불어 세라의 후손의 숫자를 추가합니다(베레스와 세라는 유다의 쌍둥이 아들로 이들을 통해 유다 지파가 나온다 참조. 창세기 38:27-30). 유다 자손 지도자들에 이어 베냐민 지파 지도자들의 명단이 소개됩니다(7-9). 베냐민 자손 중에는 살루 집안, 갑배와 살래 집안으로 전체 928명입니다. 그가운데 시그리의 아들 요엘은 감독으로 소개됩니다. ‘감독’으로 번역된 단어는 공동체의 행정 책임자를 뜻합니다. 이 용어는 11장에서 반복적으로 등장하고 있어(9,14,22,42), 당시 유다 공동체의 조직화된 모습을 암시합니다. 제사장들 가운데는 여다야, 야간 스라야 집안에서 822명(12), 아다야 집안에서 242명, 그리고 아맛새 집안에서 모두 128명으로 전체 1192명입니다. 이들 가운데 일부는 큰 용사들로 소개됩니다. ‘큰 용사’로 번역된 단어는 구약성경에서 자주 용맹스러운 군인을 뜻합니다. 이것으로 보아 예루살렘의 불안정한 상황 속에서 제사장들도 성을 방어하는 임무를 수행한 것으로 보입니다. 이들은 스룹바벨과 함께 바벨론에서 돌아온 제사장의 자손들로 예루살렘에 정착한 것입니다(참조, 에스라 2장), 레위 사람들 중에는 핫숩의 아들 스마야, 삽브대와 요사밧, 아삽의 증손 맛다냐, 박부가 압다가 소개됩니다(15-17). 이들 중 삽브대와 요사밧은 ‘성전 바깥 일’을 맡았고 아삽의 증손 맛다냐는 성전에서 기도할 때 감사하는 말씀을 인도하는 책임을 맡았습니다(17). ‘성전 바깥 일’은 레위인들의 업무 중 성전 물품을 구입하거나 조달하는 일, 성전 건물에 대한 유지 및 보수와 같은 일을 뜻합니다. 기도할 때 ‘감사하는 말씀’을 인도하는 일은 찬양 인도나 찬양대를 지휘하는 일을 의미하는 것으로 보입니다(참조 역대하 5:12). 이렇게 해서 예루살렘에 거주하는 레위 사람 전체는 총 284명입니다(18). 끝으로 예루살렘에 거주하게 될 기타 봉사자들이 소개되는데(19-24), 그들은 성 문지기 악굽과 달몬과 그 형제 172명입니다. ‘성 문지기들’이 레위인과 별도로 언급되는 것으로 보아 이들이 아직은 레위인으로 인정되지 않은 것 같습니다. 평행 본문인 역대상 9장은 ‘성 문지기들’도 레위인으로 간주합니다.

20절은 제사장과 레위인들 가운데 일부는 예루살렘 성읍 근처 자신들의 기업에 살았음을 언급합니다. 그리고 느디님 사람들은 오벨에 거주하였고, 시하와 기스바는 그들의 책임자가 됩니다(21). 느디님 사람들이 거주한 오벨은 예루살렘 성전의 남쪽, 즉 다윗 성의 북쪽 끝 언덕 지역을 가리킵니다. 끝으로 노래하는 자들인 아십 자손 가운데 미가의 가문 웃시는 레위 사람의 감독으로 성전의 일을 맡아 다스렸습니다(22). 본문은 ‘노래하는 자들’에게 왕의 명령이 주어졌음을 언급합니다(23).

여기에서 왕은 폐르시아의 왕을 가리킨다. 이것은 노래하는 자들이 페르시아 왕의 임명을 받았으며, 제국이 피정복민의 제의를 주관하였음을 의미합니다. 페르시아 왕은 피정복민들의 제의를 통해 제국의 평화와 안정을 기하고자 했던 것으로 보입니다. 예루살렘에 정착한 자들의 목록(3-24)은 역대상 9장에 언급된 귀환자(정착자)들의 목록(2-27)과 상당 부분 일치합니다. 정착자의 총수는 역대상 9장에서 약간 증가되어 있습니다(비교. 느헤미야 11:6과 역대상 9:7; 느헤미야 11:8과 역대상 9:9). 소개하는 순서도 백성의 지도자 → 제사장 → 레위인 → 기타 봉사자들로 일치합니다(참조. 역대상 9:2-3, 10-13, 13-16, 17-27). 이 두 자료의 유사성은 두 자료가 공동의 전승에 의존하고 있거나, 역대기 저자가 느헤미야서 본문을 기초로 기록했을 것으로 추측해볼 수 있습니다.

 

예루살렘 밖의 재정비(25-36)

가장 좋은 신앙, 헌신적인 신앙, 앞서서 행하는 신앙만이 신앙 전부가 아닙니다. 부르신 곳이면 어디든 언제든 나서는 것이 신앙입니다. 누구든 자신의 수준과 처지에 맞게 반응할 수 있습니다.

 

25마을과 들로 말하면 유다 자손의 일부는 기럇 아르바와 그 주변 동네들과 디본과 그 주변 동네들과 여갑스엘과 그 마을들에 거주하며 26또 예수아와 몰라다와 벧벨렛과 27하살수알과 브엘세바와 그 주변 동네들에 거주하며 28또 시글락과 므고나와 그 주변 동네들에 거주하며 29또 에느림몬과 소라와 야르뭇에 거주하며 30또 사노아와 아둘람과 그 마을들과 라기스와 그 들판과 아세가와 그 주변 동네들에 살았으니 그들은 브엘세바에서부터 힌놈의 골짜기까지 장막을 쳤으며 31또 베냐민 자손은 게바에서부터 믹마스와 아야와 벧엘과 그 주변 동네들에 거주하며 32아나돗과 놉과 아나냐와 33하솔과 라마와 깃다임과 34하딧과 스보임과 느발랏과 35로드와 오노와 장인들의 골짜기에 거주하였으며 36유다에 있던 레위 사람의 일부는 베냐민과 합하였느니라(25-36)

 

이 단락은 예루살렘 밖의 지역을 재정비하는 내용을 다룹니다. 이곳에 등장하는 지명은 귀환민들이 바벨론에서 돌아와서 정착했던 성읍들을 가리킵니다. 이곳에 소개되고 있는 유다 성읍들(25-30)과 베냐민의 성읍들(31-36)은 느헤미야 당시 유다도(예후드)의 영토를 보여줍니다(유다 성읍들의 대부분은 여호수아 15장의 유다 지파 성읍들 목록에 등장한다). 느헤미야가 총독으로 활동했을 당시 유다도(道)는 페르시아의 한 행정구역(메디나)으로 북쪽으로는 사마리아, 남쪽으로는 에돔과 접경을 이루고 있었습니다. 그렇지만 ‘오노’(35)처럼 유다도 범위 밖의 성읍들도 포함하고 있는데(참조 느헤미야 6:2), 이것은 당시 얼마간 이주의 자유가 주어졌음을 암시합니다(유다 국경을 넘어서도 정착이 이루어짐). 이제 귀환민들은 옛적 이스라엘이 가나안 땅을 유업으로 받은 것처럼(참조. 여호수아 13-19장), 하나님으로부터 새로운 유업을 받게 된 것입니다.


약속의 땅이 하나님의 통치가 실현되는 공간이 되려면, 그 땅 곳곳이 하나님을 경배하는 삶의 터전이 되어야 했습니다. 약속의 땅에 심긴 생명의 씨앗들입니다. 우리가 모두 자기 삶의 현장에서 썩어져 꽃을 피울 때, 온 세상은 복음의 향기로 가득할 것입니다.


구독과 아래 [광고베너] 클릭은
저의 성경 연구에 큰 힘이 됩니다.

728x90
반응형

+ Recent posts